[Django] 0. Django 개발환경 설정하기
이 게시글은 1학기 아기사자로 활동하며 공부한 Django에 대해 복습합니다.
- 사용 환경: MAC-OS
- visual studio를 사용하지 않으며, ios 기본 terminal을 사용합니다.
→ window 환경을 사용하고 계신 분은 visual studio3를 이용해 터미널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명령어에 대한 이해를 하신 다음 장고 공부를 추천드립니다.
저는 개념 위주가 아닌 실습 위주의 백업 중입니다. 정확한 개념을 짚으며 가시고 싶은 분들은 밑 django 공식문서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 django 공식문서: https://docs.djangoproject.com/ko/3.2/intro/
★django 복습은 간단한 도서관 웹사이트 만들기를 주제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0. 가상환경에서 Django 개발환경 설정하기
① Django를 만들 폴더 생성
mkdir django-practice
cd django-practice
② 가상환경을 생성합니다.
※ 가상환경은 python3에서만 가능합니다. python2를 쓰신다며 Python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주세요
python3 -m venv (만들고자 하는 가상환경 이름)
저는 myvenv라는 가상환경을 설정합니다.
python3 -m venv myvenv
③ 가상환경을 실행합니다.
- window
(가상환경이름)\Scripts\activate
- mac os
source (가상환경이름)/bin/activate
※비활성화
deactivate
④ Django 를 설치합니다.
pip install django
⑤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django-admin startproject (프로젝트 명)
저의 경우에는 프로젝트명을 blog로 하였습니다.
django-admin startproject blog
프로젝트 폴더 안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이런 파일이 생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저 manage.py 를 가지고 서버를 돌려줄 것 입니다.
⑥ migration을 해줍니다.
☆ migration이 무엇일까요?
django 는 model.py 를 이용해 db scheme을 관리합니다.
이 때 migrate를 이용해 자동으로 model을 관리해주며
만일 model이 변경될 경우, makemigration을 통해 db를 변경시킵니다.
python manage.py migrate
+)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
db 파일이 migration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명령어 입력 후 폴더에 db.sqlite3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서버를 돌려줄 거 에요
⑦ 서버 돌리기
python manage.py runserver
→ 확인해볼까요?
다음 차례에서는 django에서 project와 app을 생성했을 때 생기는 .py 파일들의 대해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볼 예정입니다.
2021.09.07 - [언어공부/Django] - [Django] 1. 파일의 역할 알아보기
[Django] 1. 파일의 역할 알아보기
이 게시글은 1학기 아기사자로 활동하며 공부한 Django에 대해 복습합니다. 사용 환경: MAC-OS visual studio를 사용하지 않으며, ios 기본 terminal을 사용합니다. → window 환경을 사용하고 계신 분은 visua
mypage-dream.tistory.com